아파트 청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가점제입니다. 특히 민영주택 청약에서는 가점이 당첨 여부를 사실상 결정짓는 핵심 기준입니다.
하지만 많은 분들이 청약 가점 계산 방식이 복잡하다고 느끼거나, 자신의 점수가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고 도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청약 가점제의 구성 항목, 점수 계산법, 실제 가점 시뮬레이션 3가지 케이스를 통해 지금 내 점수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1. 청약 가점제란?
청약 가점제는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우선적으로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을 점수로 환산하여 고득점자에게 우선 공급하는 제도입니다.
- 총점: 84점 만점
- 주로 민영주택, 전용 85㎡ 이하 공급 시 적용
- 전용 85㎡ 초과, 공공분양 등은 일부 추첨제 병행
2. 가점제 구성 요소 및 배점표
항목 | 내용 | 최대 점수 |
---|---|---|
무주택 기간 | 세대주가 무주택으로 유지한 기간 (최대 15년) | 32점 |
부양가족 수 | 배우자, 자녀, 부모 등 세대 구성원 | 35점 |
청약통장 가입 기간 | 청약통장 가입 후 납입 유지 기간 (최대 15년) | 17점 |
💡 3가지 항목을 모두 합쳐 **최고점은 84점**이며, 보통 실질 당첨권은 60점 이상부터 형성됩니다.
3. 무주택 기간 점수 기준 (최대 32점)
무주택 기간 | 점수 |
---|---|
1년 미만 | 2점 |
5년 이상 ~ 6년 미만 | 14점 |
10년 이상 ~ 11년 미만 | 24점 |
15년 이상 | 32점 (최대) |
✔ 무주택 기간은 세대주 기준이며, 세대원 주택 보유 여부도 영향을 줍니다.
4. 부양가족 수 점수 기준 (최대 35점)
부양가족 수 | 점수 |
---|---|
0명 | 5점 |
2명 | 20점 |
4명 | 30점 |
6명 이상 | 35점 (최대) |
📌 부양가족은 주민등록등본상 함께 거주하는 직계존속, 배우자, 자녀가 해당되며, 외국인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도 포함됩니다.
5. 청약통장 가입 기간 점수 (최대 17점)
가입 기간 | 점수 |
---|---|
1년 미만 | 1점 |
6년 이상 ~ 7년 미만 | 10점 |
10년 이상 ~ 11년 미만 | 14점 |
15년 이상 | 17점 (최대) |
💡 청약통장은 반드시 매월 납입 유지된 적립식 상품이어야 하며, 납입 횟수도 점수에 반영됩니다.
6. 가점 시뮬레이션 예시 ① – 1인 직장인
- 무주택 기간: 3년 → 6점
- 부양가족: 없음 → 5점
- 청약통장: 4년 → 6점
총 가점: 17점
👉 실질 당첨 가능성은 낮음. 추첨제 병행 단지 노려야 함.
( 필자는 가점이 17점이였지만 생애최초 특별공급으로 당첨 됐다. 1인 직장인이라면 추첨제 노려보자!! )
7. 가점 시뮬레이션 예시 ② – 신혼부부 + 자녀 1명
- 무주택 기간: 5년 → 12점
- 부양가족: 2명 → 20점
- 청약통장: 8년 → 11점
총 가점: 43점
👉 중소형 민영주택 단지에서는 경쟁률 낮은 지역에서 당첨 가능성 있음
8. 가점 시뮬레이션 예시 ③ – 40대 4인 가족
- 무주택 기간: 12년 → 26점
- 부양가족: 3명 → 25점
- 청약통장: 11년 → 14점
총 가점: 65점
👉 수도권 주요 단지에서도 실질 당첨권에 해당하는 점수
9. 마무리 – 지금 내 점수부터 정확히 알고 시작하자
청약은 복권이 아닙니다. 정확한 조건과 점수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중심의 전략 게임입니다.
✔ 나의 무주택 기간은 얼마나 되는가? ✔ 청약통장은 언제부터 적립했는가? ✔ 부양가족은 몇 명으로 구성되어 있는가?
오늘 내용을 기준으로 지금 내 점수를 계산해 보세요. 30점대 → 추첨제 집중 / 50점 이상 → 가점제 노리기 이 전략만으로도 당첨 확률은 현저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.
📌 청약홈 또는 각 지방자치단체 공공청약 사이트에서
가점 자동 계산기를 이용해 내 점수를 바로 확인
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