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혼은 한 사람의 인생에서 가장 큰 이벤트 중 하나입니다. 그리고 현실적으로는 가장 큰 목돈이 들어가는 행사이기도 합니다.
2025년 기준, 서울·수도권 기준으로 결혼 1회 비용은 평균 5,000~7,000만 원에 이르며, 예식장, 한복, 가전, 가구, 신혼여행 등 항목별로 세분화해보면
생각보다 많은 항목과 예상치 못한 지출
이 발생하게 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예비부부 또는 결혼을 앞둔 커플을 위해 결혼 준비에 들어가는 주요 비용을 항목별로 정리한 정산표를 제공합니다.
1. 결혼 비용 총괄 예산 구조
항목 | 예상 비용 (평균) | 비고 |
---|---|---|
예식 비용 (대관+식사+스냅) | 2,000만 원 | 하객 200명 기준 |
혼수 (가전+가구) | 2,000만 원 | TV, 냉장고, 침대 등 |
신혼여행 | 500만 원 | 동남아 or 일본 기준 |
예물 (반지, 시계 등) | 800만 원 | 서로 교환 |
예단 및 함 | 300만 원 | 간소화 기준 |
의상 (웨딩드레스, 턱시도 등) | 300만 원 | 촬영+본식 기준 |
기타 (답례품, 청첩장 등) | 100만 원 | 소모성 항목 |
총합계: 약 6,000만 원 (부부 공동 부담 또는 양가 분담)
2. 예식장 + 스냅 촬영 + 식사 비용
- 📍 예식장 대관료: 100만~300만 원
- 📍 식사비: 1인당 평균 6만 원 × 하객 수
- 📍 웨딩스냅+영상: 100만~200만 원
- 📍 부케, 웨딩밴드, 꽃장식 등 추가 옵션별 50만 원 이상
✔ 하객 200명 기준 총 1,200만~1,500만 원이 평균 ✔ 하객 축의금으로 일정 부분 회수 가능 (평균 회수율 60~70%)
3. 혼수 – 가전·가구 비용
✅ 가전제품 평균 시세 (2025년)
- LG 올인원 냉장고: 300만 원
- 삼성 드럼세탁기: 150만 원
- TV (65인치 스마트): 130만 원
- 에어컨+청소기+전자레인지 등 포함 총 700만 원 전후
✅ 가구 평균 시세
- 침대 프레임+매트리스: 150~200만 원
- 식탁, 소파, 옷장 등 포함 총 700만~1,000만 원
✔ 신혼부부 혼수 10종 세트 기준 가전+가구 평균 1,500~2,000만 원 소요
4. 예물 + 예단 비용
- 💍 예물반지 + 커플링: 300~400만 원
- 🕰 명품시계 1~2개 (브랜드 기준): 500~800만 원
- 📦 예단포장 + 예단비: 100~300만 원
✔ 최근 간소화 추세이지만
양가 가족이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 생략 어려움
✔ 예단은 문화 차이 크므로 사전 협의 필수
5. 신혼여행 비용
- 일본/동남아 5박 7일 패키지: 300~500만 원
- 유럽/하와이 자유여행: 600~1,000만 원 이상
- 항공권+호텔+현지 비용 포함
✔ 비수기 예약, 얼리버드 항공권 이용 시 20~30% 절약 가능 ✔ 여행사 패키지 vs 자유일정 선택에 따라 비용 차이 큼
6. 그 외 항목 – 소모성 경비
- 📨 청첩장 200장 제작: 약 10~20만 원
- 🎁 하객 답례품: 1인당 3천~5천 원 × 인원수
- 👔 드레스, 턱시도, 한복 렌탈: 총 200만 원 전후
- 🚗 본식 이동 차량, 헤어·메이크업 등 추가 50~100만 원
✔ 신경 쓰면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항목이므로
‘선택과 집중’이 필요한 영역
입니다.
7. 결혼 비용 줄이는 팁
- ✔ 스드메(스튜디오+드레스+메이크업) 패키지 이용
- ✔ 혼수가전 패키지 할인 적극 활용 (웨딩 멤버십 등)
- ✔ 예식 시간대 변경으로 식대 절감 (오전 예식)
- ✔ 지역 기반 스냅 작가 섭외 → 출장비 아낌
8. 마무리 – 계획만 잘 세워도 1,000만 원 절약 가능
결혼은 한 번뿐이지만, 비용은 계속됩니다. 결혼 이후에는 주거비, 육아비, 보험 등 더 큰 고정지출이 기다리고 있기에
결혼 준비에서 과도한 지출은 이후의 삶에 부담으로 작용
할 수 있습니다.
✔ 결혼 비용은 예비부부 간 투명한 소통과 ✔ 항목별 예산 설정, 분담 기준 정리가 핵심입니다.
2025년, 현실적인 결혼 비용을 이해하고 나와 배우자에게 맞는 결혼 준비를 시작해보세요.
지혜롭게 아낀 돈이 미래의 자산이 됩니다.